728x90
5학년 1학기 사회
1. 국토와 우리 생활
1. 우리 국토의 위치와 영역
(4) 자연환경에 따라 우리 국토를 어떻게 구분할까요?
- 북부/중부/남부 지방의 구분 기준
- 전통적인 지역의 구분방법
우리나라, 어떻게 나눌까? 자연환경에 따른 국토 구분 완전 정복!
우리나라를 북부, 중부, 남부로 나눈다고? 기준이 뭐지?
우리나라를 이야기할 때, "북부 지방은 어떻고~ 남부 지방은 어떻고~" 이런 말 많이 들어봤죠? 근데 정확히 어디가 북부고, 어디가 남부인지 헷갈릴 때가 많을 거예요. 쉽게 말해서, 휴전선을 기준으로 북쪽은 북부 지방이라고 해요 . 그럼 남쪽은? 휴전선 남쪽부터 소백산맥과 금강 하류까지를 중부 지방이라고 부르고 , 그 아래쪽을 남부 지방이라고 부른답니다 . 어때요, 이제 좀 감이 오시나요?
이렇게 나누는 건 꽤나 간단하죠? 하지만 중부 지방과 남부 지방의 정확한 경계가 어디냐는 질문이 나올 수 있어요. 그 기준은 바로 소백산맥과 금강 하류랍니다 . 이걸 기준으로 위쪽이 중부, 아래쪽이 남부라고 생각하면 돼요. 이제 뉴스에서 "중부 지방에 비 소식" 이런 멘트가 나오면, 대략 어느 지역을 말하는 건지 짐작할 수 있겠죠?
자연환경에 따라 국토를 구분하는 것은 우리나라를 이해하는 첫걸음이랍니다.
관북, 관동, 관서 지방? 이건 또 무슨 말이야?
이번에는 조금 더 옛날 이야기로 거슬러 올라가 볼까요? 고려 시대에는 북방 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철령이라는 고개에 철령관이라는 군사 기지를 세웠어요 . 이 철령관을 기준으로 지역을 나누었는데, 철령관의 북쪽을 관북 지방, 동쪽을 관동 지방, 서쪽을 관서 지방이라고 불렀답니다 . 지금은 잘 쓰지 않는 말이지만, 역사 드라마나 문학 작품에서 가끔 등장하기도 하죠.
관북, 관동, 관서는 철령관을 기준으로 한 옛날식 지역 구분이에요.
특히 관동 지방은 지금의 강원도 지역을 말하는데,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동쪽은 영동, 서쪽은 영서 지방으로 다시 나뉘기도 해요 . 강원도 여행 갈 때 "영동 지방 맛집", "영서 지방 볼거리" 이런 표현을 보게 된다면, 아, 여기가 옛날 관동 지방이었구나~ 하고 떠올리면 재미있을 거예요.
경기, 해서, 호서, 호남, 영남 지방! 이름에 숨겨진 비밀은?
자, 이제 우리나라를 조금 더 세분화해서 나눠볼까요? 수도인 한양 주변을 경기 지방이라고 불렀어요 . "경기"라는 말 자체가 왕이 머무는 수도라는 뜻이거든요 . 그리고 경기 지방의 서쪽 바다를 경기해라고 불렀는데, 이 바다의 서쪽에 있는 지역을 해서 지방이라고 했답니다 .
충청북도 제천에 있는 의림지와 금강을 기준으로도 지역을 나눴어요. 금강의 옛 이름이 호강이었는데, 호강의 서쪽을 호서 지방, 남쪽을 호남 지방이라고 불렀죠 . 마지막으로, 문경새재라고도 불리는 조령의 남쪽을 영남 지방이라고 불렀답니다 .
각 지역 이름에는 숨겨진 이야기가 담겨 있어요.
이런 전통적인 지역 구분은 오늘날에도 우리 생활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대전과 목포를 연결하는 호남선 철도는 호남 지방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었고 , 아산에 있는 호서대학교는 호서 지방의 이름을 딴 것이죠 . 또, 경기 지역과 강릉을 연결하는 영동고속도로는 태백산맥의 동쪽인 영동 지역까지 연결되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었답니다 . 어때요, 신기하죠?
왜 이렇게 지역을 나누는 걸까?
이렇게 우리나라를 여러 지역으로 나누는 이유는 뭘까요? 가장 큰 이유는 자연환경 때문이에요 . 우리나라는 산맥과 강이 많아서, 자연스럽게 지역별로 특징이 생겨났죠. 예를 들어, 태백산맥 동쪽은 바다와 가까워서 해산물이 풍부하고, 서쪽은 평야가 넓어서 농사가 잘 되는 것처럼요.
또, 옛날에는 군사적인 이유로 지역을 나누기도 했어요 . 철령관이나 조령처럼 중요한 군사 요충지를 기준으로 지역을 구분하고, 방어 체계를 구축했던 거죠. 이렇게 지역을 나누는 것은 단순히 지리적인 구분을 넘어, 역사와 문화, 생활 방식에도 큰 영향을 미친답니다.
지역 구분, 왜 알아야 할까?
그렇다면 우리는 왜 이렇게 복잡한 지역 구분을 알아야 할까요? 가장 큰 이유는 우리나라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예요. 각 지역의 특징과 역사를 알면, 우리나라 전체를 보는 시야가 넓어지죠. 또, 지역별 문화 차이를 이해하면, 다른 지역 사람들과 소통할 때 오해를 줄이고 더 잘 지낼 수 있답니다.
뿐만 아니라, 지역 구분을 알면 뉴스나 책을 읽을 때도 도움이 많이 돼요. "영남 지방에 폭염 주의보 발령" 이런 뉴스를 보면, 아, 대구, 부산, 울산 이쪽 지역이 덥겠구나~ 하고 바로 짐작할 수 있잖아요. 이제부터 우리나라 지역 구분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면, 훨씬 더 재미있고 유익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거예요!
#5학년사회 #국토와우리생활 #국토의구분 #영동과영서 #영남 #호남과호서 #지역구분
728x90
'초등교육 > 교과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 사회] 1-2-2 우리나라의 산지, 하천, 평야를 살펴볼까요 (1) | 2025.04.11 |
---|---|
[5-1 사회] 1-1-5 우리나라 행정구역의 위치 (4) | 2025.04.11 |
[5-1 사회] 1-1-3 우리 국토를 사랑해야 하는 까닭 (0) | 2025.03.29 |
[5-1 사회] 1-1-2 우리나라의 영역 (0) | 2025.03.29 |
[5-1 사회] 1-1-1 우리나라의 위치 (0) | 2025.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