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육/교과학습

[5-1 사회] 1-3-3 우리나라의 산업은 어떻게 발달했을까요

by 멧풀다솜 2025. 5. 8.
728x90

5학년 1학기 사회

1. 국토와 우리 생활

1.3. 우리 국토의 인문환경

1.3.3. 우리나라의 산업은 어떻게 발달했을까요?

- 이번 시간에는 우리나라의 산업 발달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lEOC2dL03co

 

 


우리나라 산업, 어떻게 변해왔을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나라 산업이 어떻게 발달해왔는지 재미있게 알아볼 거예요. 우리가 지금 누리는 풍요로운 삶은 산업 발달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옛날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 산업의 모습은 어떻게 바뀌어왔을까요? 궁금하지 않나요? 지금부터 함께 떠나봐요!

 

산업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나눌 수 있나요?

 
산업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물건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모든 생산 활동을 말해요 . 산업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첫 번째는 1차 산업인데요. 농업이나 어업처럼 자연에서 직접 생산물을 얻는 산업이에요 .
두 번째는 2차 산업인데, 공장에서 물건을 만드는 제조업을 생각하면 쉬워요 . 마지막으로 3차 산업은 통신, 판매, 의료, 관광처럼 눈에 보이는 물건보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랍니다 . 이렇게 산업은 우리의 삶과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요.

 

옛날 우리나라 산업은 어떤 모습이었나요?

 
아주 옛날, 1960년대 이전의 우리나라를 상상해 볼까요? 그때는 지금처럼 공장이 많지 않았어요 . 대부분의 사람들은 농사를 지으며 살았답니다. 특히 변농사가 산업의 중심이었어요 .
사실 그때는 농업 말고는 이렇다 할 산업이 거의 없었다고 해요 . 한국전쟁을 겪은 직후라 더욱더 산업 기반이 약했죠 . 그래서 이때는 1차 산업인 농업의 비중이 아주 높았어요.

 

1960년대, 우리나라 산업에 어떤 변화가 시작되었나요?

 
한국전쟁 이후 피해를 복구하면서 우리나라 산업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어요 . 1960년대에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물건들을 만들기 시작했죠 . 옷, 신발, 가발 같은 것들이에요 .
이런 산업을 경공업이라고 불러요 . 가벼운 제품을 만드는 공업이라는 뜻이죠 . 경공업은 사람의 손이 많이 필요했어요 . 그래서 서울, 부산, 대구 같은 큰 도시를 중심으로 발달했고 ,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모여들게 만들었답니다 .

 

1980년대에는 어떤 산업이 발달했나요?

1980년대가 되면서 우리나라는 더 발전했어요 . 이제는 경공업보다 더 무거운 제품을 만들기 시작했죠 . 바로 철강, 배, 자동차와 같은 것들이에요 .
이런 산업을 중공업이라고 해요 . 중공업은 무거운 제품을 만들고 , 원료를 수입해서 제품을 만들어 해외로 수출하기 좋도록 발전했어요 . 주로 남동 해안 지역의 항구 도시를 중심으로 발달했죠 . 왜냐하면 배를 통해 물건을 싣고 나르는 것이 가장 편리했기 때문이에요 .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산업은 어떻게 달라졌나요?

1990년대에는 우리나라 과학 기술이 아주 크게 발전했어요 . 과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컴퓨터, 반도체, 정보통신 산업이 발달하게 되었답니다 .
그리고 2000년대 이후에는 산업이 더욱 다양해졌어요 . 우주 산업이나 로봇 산업처럼 아주 높은 기술이 필요한 첨단 산업이 크게 발달했죠 .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서비스업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크게 발달했답니다 .

 

우리나라 산업 구조는 어떻게 변해왔을까요?

산업 종류 1960년대 비중 2020년 비중 출처
1차 산업 (농림업, 광업) 약 60% 약 5%
2차 산업 (제조업) 약 10% 약 25%
3차 산업 (서비스업) 31% 70%
우리나라 산업 구조는 시간이 지나면서 정말 많이 변했어요 . 옛날에는 농업 같은 1차 산업의 비중이 거의 60%로 아주 높았지만 , 지금은 약 5% 정도로 크게 줄었어요 .
반면에 물건을 만드는 2차 산업은 1960년대 10% 수준에서 지금은 약 25%까지 늘어났죠 . 수도, 전기, 통신 같은 3차 산업은 1960년 31%에서 꾸준히 늘어 지금은 무려 70%를 차지하고 있답니다 . 이것만 봐도 우리나라 산업 중심이 1차 산업에서 2차, 3차 산업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산업 발달이 지역의 모습도 바꾸었나요?

 
산업이 발달하면서 지역의 모습도 예전과는 다르게 변했어요 . 예를 들어, 서울에 구로공단이라는 곳이 있었어요 .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경공업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국가 산업 단지였죠 . 섬유, 의류, 신발 같은 경공업 제품을 대규모로 만들었어요 .
구로공단은 우리나라 수출의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 여성 노동자들이 힘들게 일했던 곳이기도 해요 . 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우리나라 산업이 첨단 산업으로 바뀌면서 구로공단도 달라졌어요. 지금은 서울 디지털 산업 단지로 바뀌어 it 산업과 벤처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답니다 . 이렇게 산업의 변화가 지역의 모습을 바꾸기도 해요.

 

지역마다 발달한 산업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나라는 지역마다 발달한 산업이 달라요 . 이건 그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인문환경이 다르기 때문이죠 . 예를 들어, 서울은 사람이 많고 회사가 많아서 금융 같은 서비스업이 발달했어요 . 서울 옆에 있는 성남 판교 게임 산업이 발달해서 관련 회사들이 모여있죠 .
대전은 정부 기관과 연구소가 많아서 첨단 산업이 발달했어요 . 광주 자동차 산업이 발달해서 부품 공장이 많고요 . 동해는 석회석이 풍부해서 시멘트 공업이 발달했고 , 대구는 예전부터 사람이 많아 섬유 산업이 발달했어요 . 지금은 패션 산업으로 이어지고 있죠 .
부산은 항구가 발달해서 물건을 옮기고 보관하는 물류 산업이 발달했어요 . 마지막으로 아름다운 제주도 관광 산업이 발달했답니다 . 이렇게 지역의 특징에 따라 다른 산업이 발전해요.

 

산업 발달은 인구와 도시 발달과 어떤 관계가 있나요?

산업 발달은 인구와 도시 발달과 아주 깊은 관계가 있어요 . 산업이 발달한 곳에는 일자리가 많겠죠? 일자리를 찾아 사람들이 그곳으로 모여들어요 .
사람들이 모이면 인구 밀도가 높아지고 , 자연스럽게 도시가 발달하게 된답니다 . 산업 단지가 있는 곳과 도시가 발달한 곳이 비슷한 것도 이 때문이에요 . 산업, 인구, 도시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함께 발달하는 거예요 .

 

우리나라 산업 발달, 한눈에 정리해 볼까요?

우리나라 산업은 정말 역동적으로 변해왔어요 . 1960년대 이전에는 농업이 중심이었지만 1960년대 이후로는 공업과 서비스업 중심으로 바뀌면서 산업의 종류가 다양해졌죠 .
1차 산업에서 시작해서 2차, 3차 산업으로, 그리고 지금은 첨단 산업으로 발전했어요 . 지역마다 자연환경과 사람이 살아가는 환경이 달라서 발달하는 산업도 다르고요 . 산업이 발달한 곳에는 사람들이 모여서 인구가 늘고 도시도 함께 발달했답니다 . 이렇게 우리나라 산업은 쉬지 않고 발전해왔어요!

 

 

 

#5학년사회 #국토와우리생활 #우리나라의인문환경 #우리나라산업발달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