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32

성령이 모든 이에게 내리기를 (민수기 11장) 2023. 1. 25.
복음을 선포하시다 (마4:12~25) 예수님의 길을 준비하고, 예수님께 세례를 준 요한이 잡혔다. 예수님은 요한이 잡혔다는 소식을 듣고는 갈릴리로 물러가셨다가 나사렛을 떠나 가버나움에 거주하시면서 가버나움은 예수님의 공생애 활동의 출발점이 된다. 마태는 이를 구약의 성취로 기록하고 있다. 전에 고통받던 자들에게는 흑암이 없으리로다. 옛적에는 여호와께서 스불론 땅과 납달리 땅이 멸시를 당하게 하셨더니, 후에는 해변 길과 요단 저쪽 이방의 갈릴리를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흑암에 행하던 백성이 큰 빛을 보고, 사망의 그늘진 땅에 거주하던 자에게 빛이 비치도다. (사9:1~2) 스불론과 납달리 지파는 앗시리아에 의해 끌려갔었다.(왕하15:29) 이후 게네사렛 호수 인접 지역과 갈릴리 지역에는 수많은 이방인들이 이주해서 살게 되었고, 이 '흑암에 덮인.. 2023. 1. 25.
시험 받으시는 예수님 (마3:13~4:11) 세례는 과거의 삶을 씻어 내고 하나님의 통치 앞에 전적으로 굴복하여 하나님의 뜻을 완전히 이루겠다는 약속이다. 예수님은 요단 강가에서 세례를 주고 있는 요한에게로 가서 세례를 받으려 하신다. 요한은 당황하여 자신이 감히 예수님에게 세례를 베풀 수 없다 말한다. 예수님은 완전하신 하나님의 아들이자 죄가 없으신 분이기 때문이었으며 자신의 사역이 예수님이 베푸실 세례를 준비하는 것임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수님은 자신이 요한에게 세례를 받는 것이 하나님의 모든 의를 이루는 일임을 말씀하시고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신다. 예수님이 세례를 받고 물가로 나오자 성령이 비둘기 같이 내려와 하나님의 말씀이 임한다.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자라"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섬김의 본'을 보여주려 오.. 2023. 1. 24.
마지막 선지자 요한 (마3:1~12) 마태복음 3장 부터는 마가복음의 진술을 토대로 한다. 마가복음 1장1절~6절 까지의 진술과 오늘 본문 마태복음 3장의 진술의 차이점이라면 마태는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을 향한 요한의 경고를 기술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언급된 ‘광야’는 여리고 언덕 위 요단 골짜기를 말하는데 그곳은 요단강 바로 가까이만 식물이 자라는 황량한 골짜기이다. 이 광야는 이스라엘의 출애굽을 떠 올리게 하면서 동시에 궁극적인 구원이 오리라는 희망을 일깨워준다. (호2:14~15) 역시나 마태는 이번에도 구약의 예언을 인용하여 세례요한을 설명한다. 이사야 40장 3절의 말씀을 인용하여 요한이 그리스도의 길을 준비하기 위해 외치는 광야의 ‘소리’라고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소리의 역할은 전달이다. 소리가 자기 주장을 하게 되면 온 세.. 2023. 1. 23.
행복한 설날 되세요 ^^ 2023. 1. 22.
다른 사람이 되어야 한다 2023. 1. 22.
여호와의 명령을 따라 (민수기 9장) 2023. 1. 22.
그리스도의 예언 (마2:13-23) 마태는 복음서를 기록함에 있어 유대인들이 익숙히 알고 있는 다양한 메시아에 관한 예언들이 모두 그리스도 예수를 가리키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예수의 계보, 탄생 이야기 모두 구약의 예언들을 인용하며 설명하고 예수님의 아기시절 역시 구약의 예언을 인용하며 예언의 메시아가 바로 예수님이심을 드러내고 있다. 헤롯이 동방박사들에게 속을 것을 알고 심히 분노하여 아기를 죽이려함을 천사가 예수님의 아버지 요셉에게 알려 이집트로 피하도록 한다. 호세아 11장 1절을 인용하여 출애굽의 사건과 민수기 24장 8절을 이스라엘의 출애굽이 메시아의 생애를 대표하는 그림자가 됨을 드러내었다. 또한 이집트에서 모든 이스라엘의 남자 아이들이 죽임을 당한 사건과 유사하게 헤롯이 예수님의 나이 비슷한 또래의 아기들을 죽인 사건을 드.. 2023. 1. 22.
실패는 신선한 자극 2023. 1. 21.
동방의 박사들이 찾아오다 (마2:1~12) 동방(아마도 페르시아, 또는 바벨론 쪽으로 추정)에서 박사들이 찾아왔다. 이 박사들은 헬라어 '마고스'를 번역한 것인데 원래의 의미는 천문학과 점성술에 종사하던 페르시아의 제사장 계급 구성원을 나타낸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바벨론이나 다른 곳의 점성가들을 의미하는 낱말로 사용된다. 박사들은 별을 보던 중 미래의 이상적인 위대한 통치자가 태어났음을 발견하고는 '경배'하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왔다. 그리고 그들은 사람들에게 물었다.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가 어디 계시냐. 우리가 그에게 경배하러 왔노라" 예루살렘은 발칵 뒤집어졌다.(3절) 왕이라니? 유대인의 왕이라니? 반란이라도 일어나는 건가? 그럼 헤롯왕은? 더구나 그들이 '경배'하러 왔다니? 여기에서 사용된 '경배'-헬라어 '프로스쿠네오'-는 오직 하나.. 2023. 1. 21.
법궤 위에서 말씀하시는 하나님 (민수기 7장) 2023. 1. 20.
사랑은 자신을 위한 선물 2023. 1. 20.
임마누엘 (마1:18~25) 마리아의 약혼자 요셉. 요셉은 약혼한 자신의 아내 마리아를 집으로 데려오려는데 문제가 생겼다. 마리아가 임신을 한 것이다. 요셉은 얼마나 황당하고 마리아에 대해 배신감을 느꼈을까? 그런데 여기서 요셉의 성품이 드러난다. 율법대로라면 마리아를 간음죄로 고발하여 돌에 맞아 죽게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요셉은 이것을 드러내지 않고 그저 조용히 끝내고 싶었다. 이를 성경은 '의로운 사람이라'서 라고 설명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요셉의 '의'는 하나님의 성품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디카이오스'를 사용하였다. 이는 요셉이 단순히 율법에 충실한 사람이 아닌, 하나님의 율법이 '사랑'에 본질이 있음을 알고 있는 사람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용서에 관하여 많이 듣고, 많이 배우고 하였지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2023. 1. 20.
생각을 포기하면 2023. 1. 19.
여호와는 네게 복 주시고 너를 지키시기를 원하며 (민수기 6장) 2023. 1. 19.
728x90